TASHIMA Kimihito
창제약학분야
전문 분야: 약리학
주요 담당 과목
창제 약학 특론, 대학원 특별 강의
연구 테마 및 키워드
・기능성 디스펙시아 병태 모델 동물의 제작과 그 치료 타겟의 해명에 관한 연구 ・온도 감수성 채널 TRPA1과 소화관 기능 조절에 관한 연구
최종학력/학위
교토약과대학/박사(약학)
면허/자격
약사, 약리학 에듀케이터
소속 학회
일본 궤양학회, 일본약리학회, 일본약학회, 일본한의약약학회, 일본신경소화기병학회, 미국 소화기병학회
주요 성과
1. N. Ohashi, K. Tashima, T. Namiki, S. Horie. Allyl isothiocyanate, an activator of TRPA1, increases gastric mucosal blood flow through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and adrenomedullin in anesthetized rats. J Pharmacol Sci. 151 (4), 187-194 (2023).
2. M. Yoshikubo, K. Tashima, M. Raimura, Y. Watanabe, Y. Noma, S. Horie. Daikenchuto, a Traditional Kampo Medicine, Facilitates Mucosal Hyperemic Responses through Activation of TRPA1- and TRPV1-Expressing Sensory Nerves in Rat Stomach. Planta Medica International Open 9 (01) e72-e79 (2022).
3. K. Hashimoto, K. Tashima, T. Imai, K. Matsumoto, S. Horie. The rodent model of impaired gastric motility induced by allyl isothiocyanate, a pungent ingredient of wasabi, to evaluate therapeutic agents for functional dyspepsia. J Pharmacol Sci. 145 (1), 122-129 (2021).
자세한 연구 실적은 이쪽
학외 활동
도쿄 간호학부 비상근 강사